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주를 행복하게 만드는 '자사주 매입 후 소각 처분 효과'

회사가 자신의 주식을 사들이면?

시중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줄어들어 내가 가진 주식의 가치가 올라간다!

자사주 매입이 주주를 기쁘게 하는 이유다.
 
미국 항공사 보잉은 2010년 이후 10년간 자사주 매입에만 무려 434억달러(약 52조원)를 썼다. 그런 보잉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경영상황이 악화되어 미국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는 처지에 놓이게 되자 가장 먼저 나온 지적이 바로 자사주 매입이었다.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을 거면 앞으로 자사주 매입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도대체 자사주 매입이 무엇이길래 보잉은 그렇게도 많이 했던 것일까? 사람들은 왜 이것을 비판하는 것일까?
 
주주에게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보약
 
자사주 매입이란 어떤 기업이 발행한 주식을 다시 그 기업이 되사는 것, 즉 자사의 주식을 되사는 것을 의미한다. 자사주 매입은 배당 확대와 함께 주주들이 가장 좋아하는 정책 중 하나다.

회사가 본인의 주식을 사들이는 것뿐인데 주주가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바로 자사주 매입으로 인해 일반주주들의 주식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A회사의 주식 100주가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고 치자. 만약 50주가 매물로 나온 상황에서 A회사가 이를 모두 사들이면 시중에 유통되는 A회사의 주식은 50주로 줄어든다. 유통주식수는 2분의 1로 줄어들면서 내가 갖고 있던 주식의 가치는 2배가 된다. 그래서 자사주를 매입하면 주가가 오르는 것이다.

자사주 매입이 주가를 올리는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시장에 알리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형성된 주가가 회사가 자체 평가한 주가보다 싸다면 현금을 그대로 놀리느니 자사주를 매입하는 게 회사로선 합리적 선택이다. 나중에 주가가 오른 후 되팔면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회사들은 주가가 많이 떨어졌을 때 자사주를 매입하곤 한다.

자사주 매입 뒤에 으레 나오는 소식은 자사주 소각이다. 이렇게 매입한 자사주를 서류상에서 없는 주식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다. 회사가 기껏 돈을 주고 사들인 자사주를 없애면 회사의 자기자본(순자산)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자본을 이용해 산 주식이 사라지니 자본만 사라지는 셈이다. 이렇게 순자산을 줄이면 자기자본이익률(ROE=순이익/자기자본×100)의 분모가 되는 값이 적어지므로 ROE가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ROE상 적은 자기자본으로도 높은 순이익을 내는 기업이 되기에 기업가치를 더 높게 평가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자사주를 소각해야 나중에 회사가 이 주식을 내다 팔지 않는다는 것을 보증할 수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도 줄어든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자사주를 매입하면 꼭 소각하지만, 한국에선 아직 소각이 당연시되는 분위기는 아니다. 다만 회사가 별일 없는 한 자사주를 내다 팔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자사주 매입만으로도 호재로 받아들여진다.
 
현금 없는 기업이 자사주 매입에 극성이면 독약
 
그러나 자사주 매입이 보약이려면 해당 기업이 꾸준히 돈을 잘 벌고 현금이 많이 쌓인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만약 기업이 현금은 없는데 자사주만 사들이면 필요한 투자에 돈을 쓰지도 못할뿐더러 경영이 어려워졌을 때 돈이 부족해 빠져나갈 수가 없게 된다.

앞서 언급했던 보잉이 대표적 예다. 보잉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략 10년간 잉여 현금흐름의 96%가량을 자사주 매입에 썼다. 벌어들인 돈 대부분을 주식을 사는 데 썼단 얘기다. 그랬기에 보잉이 ‘737맥스’의 결함, 코로나에 따른 여객 수요 감소 등에 정부의 구제금융까지 요청하는 처지가 되자 많은 이들이 비판한 것이다.

잘나갈 때 현금을 쌓아뒀더라면 이런 위기에 처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번 돈으로 주주들 배만 불리며 주가나 떠받치기 급급했고, 어려울 때 국민들 세금에 기댔다는 것이다. 그래서 미국 정부는 코로나 이후 구제금융을 받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사주 매입을 상당기간 동안 금지시켰다.
 
자사주가 가져다주는 뜻밖의 효과
 
보통 자사주는 일반 주주의 주식을 대상으로 매입한다. 대주주 지분은 매입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자사주를 매입한 뒤 소각하면 대주주의 지분율은 높아진다. 여기에 자사주 소각은 주가 상승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에 대주주가 보유한 지분의 가치 또한 올라간다.

그래서 지분율을 높이고자 하는 오너와 대주주들이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삼성전자가 대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발표했을 때 증권가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영향력 강화와 주주환원 정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것’이라고 평가한 건 이 때문이다.

또 자사주는 경영권 방어에도 도움이 된다. 원래 자사주는 해당 회사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갖지 못하지만, 자사주를 다른 사람에게 팔아넘기면 의결권을 되살릴 수 있어서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과정이 대표적 사례다. 당시 삼성물산이 지나치게 싼값으로 제일모직과 합병하려 하자 네덜란드 연기금 자산운용사(APG) 등 삼성물산 주주들이 반발했고, 급기야 삼성물산 지분 7.12%를 갖고 있던 헤지펀드인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합병 결의 금지 가처분 신청까지 법원에 제출했었다.

이렇듯 합병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졌을 때 구세주로 나타난 게 바로 삼성물산의 자사주였다. 삼성물산은 자사주 전량인 5.76%를 KCC에 매각했고, KCC는 주주총회에서 합병 찬성 쪽에 투표하며 삼성물산의 백기사가 되었다. KCC가 합병에 손을 들어줌으로써 삼성물산은 찬성표 69.5%를 얻어 가까스로 합병에 성공한다. 합병 승인 마지노선이 찬성률 66.66%였으니 KCC가 백기사가 되지 않았다면 합병 역시 불발에 그쳤을 것이다.

부자들이 배당금 많이 주는 고배당주를 사는 이유

 

부자들이 배당금 많이 주는 고배당주를 사는 이유 (배당기준일, 미처분이익잉여금, 배당락일)

주식을 한 주만 갖고 있어도 매 분기말, 혹은 반 년에 한 번, 1년에 한 번 꼬박꼬박 배당금을 주는 주식들이 있다. 단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기준일까진 주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건물주가 ‘갓물

trademan.tistory.com

외국인이 주식을 사면 주가가 오르는 2가지 이유

 

외국인이 주식을 사면 주가가 오르는 2가지 이유 (투자은행, 펀드, 연기금, 헤지펀드, 뮤추얼펀드

외국인이 사서 주가가 오르는 건 왜일까? 그들은 우리가 모르는 대단한 정보라도 알고 있는 걸까? 아니! 사실은 덩치가 크고 꾸준히 사서 오를 뿐이야. ‘이번에도 외국인이 이겼다. 외국인 매수

trademan.tistory.com

주식 기대수익률은 어느 정도 나와야 잘하는 걸까?

 

주식 기대수익률은 어느 정도 나와야 잘하는 걸까? (김치프리미엄, 곱버스)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식에 투자하면서 기대하는 수익률은 몇 %일까? 주식으로 어느 정도 수익률을 내야 잘했다고 할 수 있을까? 비트코인이 뜬다 싶으면 비트코인으로 우르르 몰려가 ‘김

tradema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