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rypto

NFT 사진 그림 판매하기 3단계 - 판매방식 설정하기 (feat. 민팅 사용설명서 8편)

이제 시장 상황을 살피면서 NFT를 판매할 차례다. 오픈시에서 NFT를 판매할 때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NFT를 모아서 묶음으로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해진 정답은 없으므로 각자 원하는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1. 구매 제안 기다리기

자신이 만든 NFT에 가격을 책정하기 어렵거나, 경매까지 생각하지 못한 다수의 NFT 창작자들은 구매 제안을 기다리는 형태로 판매한다. NFT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이 먼저 희망하는 가격을 제안할 수 있다는 의미다. NFT 창작자(혹은 현재 소유자)는 제안을 받을지 받지 않을지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시장이 NFT에 어느 정도의 가치를 부여하는지를 보며 시장 상황을 살피기에 매우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가만히 앉아 있는데 저절로 구매 제안이 들어오진 않는다. NFT를 알리지 않는다면 당연히 구매 제안을 하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NFT를 판매하고자 한다면 마케팅이 필수적이다.

오픈시에서의 구매 제안은 열흘간 유효하며 구매 제안을 한 사람이 언제든지 제안을 취소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 제안이 마음에 들었다면 너무 시간을 끌지는 않도록 하자. 오픈시는 누군가가 NFT에 대해 구매 제안을 할 때마다 이메일을 보내준다.

오픈시의 본질이 마켓플레이스이다보니 오픈시에서 NFT를 민팅하면 자동으로 '구매 제안 기다리기' 상태로 판매가 개시된다. 따라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들로부터 NFT에 대해 구매 제안을 받을 수 있다.

2. 고정 가격 정하기

처음부터 생각해둔 가격이 있다면 그 가격으로 판매를 할 수 도 있다. 그만큼 지불할 의사가 있는 누구나 당신의 NFT를 구매할 수 있다. 가격을 정해서 판매하는 경우에도 다른 사람들이 그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구매 제안을 할 수 있으며, 그 제안을 받아들일지는 각자가 정하면 된다.

합리적인 가격은 어느 선일까? NFT의 고유성이 NFT의 인기의 원인 중 하나기도 하지만 그렇기에 적당한 가격을 정하기 어렵기도 하다. 집을 팔 때는 비슷한 평형과 근처 입지 등을 고려해 가격을 정한다. NFT가 크립토키티와 같은 NFT 시리즈의 일부라면, 다른 크립토키티 NFT가 최근 거래된 가격을 참고해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당신의 NFT가 하나밖에 없는 예술 작품이라면 비교 가능한 대상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대부분의 마켓플레이스에서는 공급과 수요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판매하고자 하는 NFT가 (1/1) 인지, 또는 여러 에디션 중 하나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그다음 NFT에 대한 수요를 가늠해봐야 한다. 당신의 SNS 팔로어는 몇 명이나 되는가? 팔로어가 당신의 NFT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할 수 있는가? 어떤 마케팅과 홍보를 할 계획인지도 중요하다. 또한 NFT에 포함된 특전이나 잠금 해제 컨텐츠의 가치도 고려하자. 가격 책정은 과학보다 예술에 더 가깝다.

이처럼 처음 가격을 정하는 입장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앞서 언급한 요소들을 고려해 최선의 결정을 내리자. 가능하면 낮은 가격보다는 높은 가격으로 시작할 것을 권한다. 누군가 비싼 가격에 NFT를 구입할지 모르는 일이며, 와인과 비슷하게 낮은 가격은 가치도 낮다는 인식을 심어준다.

마지막으로 가격은 언제든지 낮추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픈시에서는 가격을 낮춘다고 해서 가스피가 더 들지 않는다.

3.1 경매 붙이기 - 영국식 경매 English Auction

오픈시에서는 영국식 경매와 네덜란드식 경매 중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영국식 경매는 낮은 가격에서부터 시작해 점차 가격을 높이며, 경매가 종료되는 시점에 가장 높은 금액을 부른 사람에게 NFT를 판매하는 방식이다.

영국식 경매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입찰 시작가 및 최저 판매가를 지정해야 한다. 최저 판매가는 수용 가능한 최소한의 가격을 의미한다. 경매가 종료되는 시점의 최고 입찰가가 최저 판매가 미치지 못하면 NFT는 판매되지 않는다.

오픈시에서는 경매 종료 전 10분 이내에 새로운 입찰자가 나타나면 경매 시간을 10분 연장한다. 이것은 누군가가 경매 막판에 최고가를 불러 NFT를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모든 잠재 구매자들에게 입찰할 기회를 보장한다.

보통 경매가 끝나기 직전까지는 잠재적 구매자들이 자신들의 수를 너무 일찍 보이고 싶어하지 않으므로 응찰이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그러므로 경매 진행이 느려도 낙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경매가 구매자가 나오지 않은 채로 종료되더라도 걱정할 필요 없다. 언제든지 다시 경매를 시작해도 되고, 가격을 정해서 판매하거나, 천천히 구매 제안을 기다려도 되기 때문이다.

3.2 경매 붙이기 - 네덜란드식 경매 DDuItch Auction

네덜란드식 경매는 높은 가격에서 시작해서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가격이 내려가는 방식이다. 가격을 수락한 첫 번째 사람이 낙찰자가 되므로 영국식 경매와 같이 여러 번의 입찰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경매 참여자의 강박감을 이용하는 것이 네덜란드식 경매의 장점이다. 경매 참여자들은 만약 내가 너무 오래 기다리면 다른 사람들이 먼저 차지하지 않을지를 두려워한다. 경매참여자에게는 두 번째 기회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가격을 수락해버리면 경매는 바로 종료된다.

네덜란드식 경매를 택한다면 각자가 생각하는 NFT의 가격보다 훨씬 높은 금액으로 경매를 시작할 것을 권한다. 누군가가 일찌감치 높은 가격에 입찰할지도 모를 일이다. 오픈시에서 네덜란드식 경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시작 가격, 종료 가격, 그리고 경매 기간을 정하면 된다. 경매 종료 시점까지 남은 시간에 비례하여 오픈시가 자동적으로 조금씩 가격을 낮춰준다.

+판매용 묶음 만들기

NFT를 판매하는 또 다른 방법은 묶음(번들)으로 판매하는 것이다. 묶음은 여러 NFT를 하나의 패키지로 함께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자가 NFT를 자유롭게 묶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묶음의 장점은 특정 NFT의 세트를 한꺼번에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롭 그론카우스키가 우승한 네 개 시즌에서 하나씩을 뽑아 네 개의 NFT로 구성한 '롭 그론카우스키 NFT 묶음'을 판매하기도 한다. 오픈시에서는 NFT 묶음을 고정 가격으로만 판매할 수 있는 점 참고하자.

본격적으로 NFT 판매하기

이제 NFT를 판매하러 가보도록 하자. NFT를 판매 목록에 올리기까지의 과정을 차근차근 살펴보자. 시작하기 전에 컬렉션 설정을 살펴봐야 한다. 컬렉션에 대해 설정한 내용 중 상당수가 각 NFT에도 반영되기 때문이다. 특히 지속적 로열티율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로열티를 받을 지갑 주소는 맞는지 잘 확인하도록 한다.

▶오픈씨에서 컬렉션 만들기 (feat. NFT 민팅 사용설명서 4편)

 

오픈씨에서 컬렉션 만들기 (feat. NFT 민팅 사용설명서 4편)

컬렉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순서대로 따라하면 된다. 1. 오픈씨를 연 다음 페이지에서 프로필 사진 위로 마우스 커서를 옮기고 내 컬렉션(My Collections)을 클릭하자. 그 다음 내 컬렉션 페이지의 컬

trademan.tistory.com

오픈시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NFT의 페이지의 오른쪽 위에 있는 판매(Sell) 버튼을 클릭하면 판매 설정 페이지로 넘어간다. 가장 먼저 지속적 로열티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오른쪽 아래 위치한 비용(Fees)이 수수료 바로 아래에 표시되어 있다. 만약 컬렉션의 이름이나 지속적 로열티 비율이 보이지 않거나 잘못되어 있다면 컬렉션 설정 페이지로 돌아가서 수정하자.

 

판매 방식 정하기

지속적 로열티를 설정한 다음 판매 방식을 선택한다. 고정 가격(Fixed Price -> 묶음(Bundle) 설정 가능), 최고가 입찰인 영국식 경매(Timed Auction -> Sell to highest bidder) 중에서 하나를 고르자. 만약 네덜란드식 경매를 고르고 싶다면 Timed Auction -> Sell to declining price 을 고르면 된다. 가격을 설정할 기본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이며, 화면 가운데 보이는 가로 아이콘이 이더리움을 뜻한다

이 아이콘은 오픈시에서 이더리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가격을 설정할 기본 암호화폐를 변경하고 싶다면 아이콘을 클릭해서 다른 암호화폐를 고르면 된다. 현재 선택 가능한 다른 암호화폐는 DAI와 USDC다. DAI와 USDC 모두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인데,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에 연동되어 가격이 고정된 암호화폐를 뜻한다. 즉, 1 DAI나 I USDC가 1달러(혹은 1달러에 극히 가까운 가치)와 같다는 의미이다.

오픈시에서는 이더리움이 주로 사용되므로 가격은 이더리움 기준으로 설정하면 편하다. 네덜란드식 경매를 진행하려면 종료 가격 설정을 위해 Timed Auction -> Sell to declining price -> Ending price 에 가격을 기입하면 된다. 종료 가격 (Ending price), 경매 종료일(Expiration date)을 설정한다. 네덜란드식 경매를 원치 않고 고정된 가격에 올리고 싶다면 Fixed Price를 선택해 원하는 판매가격을 기입하면 된다.

NFT 판매를 바로 시작하지 않고 나중에 시작하고 싶다면 판매 시작시점 설정(Duration) 옵션에서 판매를 개시할 날짜와 시각을 고르자. 만약 NFT를 특정 구매자에게만 판매하고 싶다면 비공개 옵션(Reserve for specific buyer)을 켜고 구매자의 이더리움 주소를 입력하자. 이 옵션을 켜두면 당신의 NFT는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오직 입력한 주소의 주인만이 NFT를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최고가 입찰 - 영국식 경매 Highest Bid

일반적인 영국식 경매를 시작하려면 최고 입찰(Sell to highest bidder)을 선택하자. 다음 그림을 참고하면 된다. 그러려면 우선 최저 입찰가(Minimum bid)를 정해야 한다. 고정 가격과 마찬가지로 가격을 설정할 기본 암호화폐를 고를 수 있다. 최저 입찰가는 0.01ETH처럼 낮게 설정할 것을 권한다. 아예 0으로 할 수도 있다. NFT의 높은 가치를 전하고 싶다면 최저 입찰가를 높게 설정할 수도 있지만 높은 최저 입찰가는 입찰자들의 참여를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최저 판매가(reserve price)를 설정하자. 오픈시에서 최저 판매가는 필수값이며 최소 1ETH로 설정되어야 한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경매 종료 시점의 최고 입찰가가 최저 판매가에 미치지 못하면 경매는 거래가 성사되지 않은 채 종료된다. 그러므로 최저 판매가를 너무 높게 설정하지는 않도록 하자. 오픈시에서는 경매 진행 여부 및 최저 판매가와 상관없이 어떠한 입찰가도 수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매 종료일 및 종료 시각을 설정해주자. 경매 소식이 널리 퍼질 수 있도록 경매 일정은 여유롭게 잡는 것이 좋다. 반대로 긴박감을 조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경매 기간을 짧게 잡는 것이 좋다. 추천하는 경매 기간은 5일이지만, 3일이나 7일도 문제가 없다. 경매 예약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으니 활용해보는 것도 좋겠다.

아래의 화면과 같이 최종적으로 NFT 민팅을 하기 위해서는 가스비가 필요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전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거래소에서 해당 암호화폐를 구매하며 메타마스크로 입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NFT 사진 그림 판매하기 1단계 - 업비트 계정 만들기, 암호화폐 구매하기

▶NFT 사진 그림 판매하기 2단계 - 메타마스크 지갑에 입금하기

묶음Bundle

두 개 이상의 NFT를 묶어 판매하려면 묶음(Fixed Price -> Sell as a bundle)을 선택하자. 그다음 계정 페이지에서 묶음에 포함시킬 NFT를 고르면 된다. 클릭해서 원하는 NFT를 선택하자. 마지막으로 화면 하단의 묶음 판매(sell Bundle of)를 클릭하자. 선택한 NFT의 개수가 버튼에 함께 표시될 것이다. 선택을 마치면 그림과 같은 판매 설정 페이지로 돌아오게 된다.


가장 먼저 할 일은 묶음의 이름을 정하는 것이다. 잠재적 구매자들이 묶음의 구성에 대해서 추측해야 하거나 헷갈리지 않도록 '롭 그론카우스키 슈퍼볼 챔피언십 번들' 처럼 직관적인 이름을 짓는 게 좋다. 하지만 재미난 이름도 마음껏 시도해보자. 나머지 옵션은 앞에서 살펴봤던 고정 가격의 옵션과 동일하다. 고정 가격 설명을 참고하도록 하자.

NFT 판매 등록하기

모든 판매 설정을 마쳤으니, 판매 설정 페이지 오른쪽의 요약영역에서 설정에 문제가 없는지 마지막으로 점검하도록 하자. 설정에 문제가 없다면 상품 등록(Complete listing) 버튼을 누르자. 이 계정으로 NFT를 처음 등록하는 것이라면 메타마스크 지갑이 뜨면서 지불해야 할 가스피 비용을 보여줄 것이다. 만약 메타마스크 지갑이 자동으로 뜨지 않았다면 직접 선택하자. 여기에 표시된 가스피가 지불해야 할 총액인 점 참고하자.

만약 가스피가 너무 높거나 잔고가 가스피를 내기에 부족한 경우 거래를 취소하고 상품 등록을 뒤로 미룰 수 있다. 만약 메타마스크 지갑에 ETH를 보충해야 한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고 진행하도록 하자.

▶NFT 사진 그림 판매하기 1단계 - 업비트 계정 만들기, 암호화폐 구매하기

▶NFT 사진 그림 판매하기 2단계 - 메타마스크 지갑에 입금하기

문제가 없다면 메타마스크 지갑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자.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거래건을 확인하는 데는 몇 분이 걸린다. 네트워크 혼잡도가 높은 경우에는 조금 더 걸릴 수 있으니 기다려보도록 하자. 거래가 컨펌되면 WETH 지출을 승인하기 위한 또다른 작은 거래건을 승인해야 할 수도 있다. WETH에 대해서는 추후에 법적 해석 관련 글을 다룰 예정이다.

여기까지 마무리했다면 NFT의 판매 등록이 마무리된다. 축하한다! 드디어 NFT를 판매하게 됐다. 앞으로 이 계정에서 다른 NFT를 판매 등록할 때에는 가스피를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상품 등록 버튼을 누르면 메타마스크 지갑이 열리고 이후에는 서명(sign) 을 클릭하면 된다. 만약 오픈시 계정을 새로 만들게 되면 처음으로 판매 등록을 할 때 가스피를 지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