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드라이브 스루

 

6년 전 미국 연수생활 중 한동안 적응 못 했던 시스템이 있다. 차에서 내리지 않고 이용하게 돼 있는 드라이브 스루(drive-thru)시스템. 국내에도 일부 도입돼 있었으나 굳이 이용할 일이 없었다. 하지만 대중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미국에서 이 시스템은 요긴했다. 드라이브 스루로 햄버거와 커피를 주문한 것은 물론이고, 차를 탄 채 자동인출기(ATM)를 이용했고, 도서관에서도 차에서 내리지 않고 책을 반납했다. 그 편리함에 무릎을 치면서 2억 7,000만대의 차가 굴러다니는 '자동차 왕국'답다는 생각을 했다.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은 1930년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그랜드 내셔널 뱅크에서 처음으로 도입됐다. 첫 드라이브 스루 음식점은 1947년 미주리주 스프링필드의 '레드의 자이언트 햄버거', 현재 미국에는 21만개 이상의 드라이브 스루 레스토랑이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종업원이 날씨, 시간, 트렌드에 따라 운전자에게 메뉴를 추천하는 시스템까지 도입되고 앱 주문 운전자 전용 진입로가 등장하는 등 기술 발전에 따라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은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국내에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이 등장한 지도 30년이 넘는다. 1986년 개장한 켄터키프라이드치킨(KFC) 서울 방배동 매장이 그 효시인데 1992년 미스터피자와 맥도널드가 뒤이어 이를 도입했다. 유통업계에서는 1989년 롯데백화점이 추석 때 한시적으로 선물용품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을 도입한 게 첫 사례로 꼽힌다. 현재 국내 맥도날드 매장 410곳 중 절반 이상(248곳)이, 스타벅스 매장(1,300개소) 중 5분의 1가량(240개소)이 드라이브 스루로 운영되는 등 차차 정착 단계에 들어가고 있다.

 

코로나19 의심환자의 급증으로 진단에 어려움을 겪던 지자체들이 드라이브 스루 형태의 선별진료소를 운영해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 경북 칠곡의 경북대병원에서 운영이 시작돼 현재는 경기 고양시, 세종시, 서울시 등 전국 50여곳에서 이런 형태의 진료소가 운영 중이다. 대기 중 감염 가능성을 낯주고 진단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그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스코틀랜드의 에든러버, 영국 런던 등에서도 이런 진료소가 등장하고 있으니 회수를 건너온 귤이 탱자가 아닌 귤로 자라 회수를 다시 건너간 경우라고 할 수 있을까.